No1.Linux의 KODI에서 넷플릭스 애드온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글입니다.
사용환경
No1.Linux 2021 KDE PLASMA 버전 이상
- KODI 19.4 버전
1. 의존성 패키지및 파이썬 모듈 설치하기
1.1 kodi-addon-inputstream-adaptive 패키지 설치
No1.Linux에서는 이 패키지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먼저 이 패키지를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no1linuxer@no1linux ~]$ su
암호: <----- root 암호 입력
[root@no1linux no1linuxer]# apti kodi-addon-inputstream-adaptive
1.2 파이썬(Python) 모듈 설치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파이썬 모듈을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root@no1linux no1linuxer]# pip3 install contextvars
[root@no1linux no1linuxer]# pip3 install async_generator
2. 넷플릭스 애드온 구하기
https://github.com/CastagnaIT/plugin.video.netflix
![]()
상기 사이트로부터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을 다운로드합니다. 오른쪽 중간에 있는 [Releases]를 클릭하여 zip 파일 또는 tar.gz로 된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git를 사용할 줄 아는 사용자는 [Code]를 클릭하여 클론 주소를 복사하여 직접 다운로드해도 되지만, 리눅스 입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이드이므로, 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습니다.
3. 다운로드한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 압축 파일 설치하기
3.1 zip 파일
Step1. KODI를 실행하여 [설정] 도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Step2. 시스템 설정 메뉴에서 [애드온]을 클릭합니다.
![]()
Step3. 애드온 탐색기에서 [압축 파일에서 설치]를 클릭합니다.
![]()
step4. KODI 애드온 초기 설치 시에는 보안 문제로 확실하지 않은 소스에 대해서는 설치가 되지 않으므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Step5. [알 수 없는 소스]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이 때 경고창이 뜨는데, [예]를 선택합니다.
![]()
Step6. [ESC] 버튼을 클릭하여 애드온 탐색기 화면으로 되돌아갑니다. 다시 [압축 파일에서 설치]를 클릭합니다.
![]()
Step8. zip 애드온 설치는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경고창이 나오는데. [예] 버튼을 클릭합니다.
![]()
Step9. 다운로드한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 zip 파일을 불러옵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은 /home/사용자명/Downloads 경로에 위치하는데, [홈폴더 -> Downloads -> repository.castagnait-2.0.0.zip]으로 찾으면 됩니다.
![]()
Step10. 애드온이 설치되었다는 팝업창이 살짝 나타났다가 없어지는데, 애드온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저장소에서 설치]를 클릭합니다.
![]()
Step11. [저장소에서 설치]에서 [CastagnalT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
![]()
Step12. [비디오 애드온]을 클릭합니다.
![]()
Step13. [Netflix 애드온]을 선택합니다.
![]()
Step14. [설치]를 클릭합니다.
![]()
Step15. 넷플릭스 애드온이 설치과정이 완료되면 비디오 애드온 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을 또 클릭합니다.
![]()
Step16.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 설정 초기 화면이 나옵니다. 먼저 [종속성 요소]를 클릭합니다. 종속성 요소가 충족되지 않으면 넷플릭스 애드온 실행시 오류가 나올 수 있으므로, 애드온 실행에 필요한 요소들을 추가로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Step17. [InputStream Helper]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해 주기 바랍니다. 나머지 다른 요소들도 클릭하여 설치해 줍니다.
![]()
Step18. 종속성 요소 설치가 완료되면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는 설정이 완료됩니다. 그러면 [열기]를 클릭하여 넷플릭스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
3.2 tar.gz 압축 파일 설치
Step1. 다운로드한 넷플릭스 비디오 애드온 tar.gz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하여 압축 파일을 KODI 경로로 압축을 풉니다.
[no1linuxer@no1linux ~]$ cd Downloads
[no1linuxer@no1linux Downloads]$ tar xvfx plugin.video.netflix-1.18.8.tar.gz -C ~/.kodi/addons
Step2. KODI를 실행합니다. KODI가 실행되면 Netflix 애드온을 활성화시킬 것인가 하는 창이 나옵니다. [예]를 클릭합니다.
![]()
Step3. 넷플릭스 애드온 설정 화면을 나오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종료합니다.
![]()
Step4. KODI 홈메뉴 -> 애드온]을 선택하면 [넷플릭스] 애드온이 나옵니다. [넷플릭스] 애드온을 클릭합니다.
![]()
Step5. 넷플릭스 오류 팝업창이 나오는데 일단 무시하고, [비디오 애드온]를 클릭합니다.
![]()
Step6. [넷플릭스 애드온]를 선택합니다.
Step7. 넷플릭스 오류 팝업창이 나오면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먼저 [ESC] 버튼을 눌러 KODI 초기화면으로 이동하여 왼쪽 상단에 있는 베어링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Step8. [애드온 -> 넷플릭스 애드온]를 선택합니다.
![]()
Step9. [종속성 요소]를 클릭합니다.
![]()
Step10. 넷플릭스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들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화면에 보이는 각각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설치해 주는데, 특히 InputStream Helper 요소가 설치되지 않으면 넷플릭스 애드온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
Step11. 모든 종속성 요소 파일들이 설치되면 넷플릭스 애드온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제 [열기]를 실행하여 넷플릭스에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
만일 넷플릭스 로그인 설정 화면이 아닌 다음과 같은 오류 화면이 나올 경우에는 [확인]을 클릭한 후 KODI를 종료하였다가 다시 실행하여 [애드온-> 넷플릭스 애드온]를 재실행하면 로그인이 나오게 됩니다.
![]()
4. 넷플릭스 로그인 설정
![]()
넷플릭스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되어야 하므로 [E-mail/암호]를 선택하여 넷플릭스 계정을 설정합니다.
![]()
5. 넷플릭스 시청하기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게 되면 이제 KODI에서 고화질로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게 됩니다.
KODI 초기화면에서 넷플릭스를 볼려면 언제든지 [KODI 홈 -> 애드온 -> 넷플릭스]를 실행하거나 [KODI 홈 -> 비디오 -> 비디오 애드온 -> 넷플릭스]를 실행해 주면 됩니다.
![]()
![]()
FAQ - [FAQ183] KODI에서 넷플릭스를 시청하는 방법.pdf
No1.Linux RPM Repository에서는 넷플릭스 플러그인 패키지를 지원합니다. 이 패키지는 넷플릭스 애드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이썬과 Adaptive file 애드온을 자동으로 설치해 주며, 넷플릭스 비디오 플러그인을 자동으로 설치해 줍니다. 이 패키지를 설치한 후 코디를 실행하여 넷플릭스 애드온을 설정해 주면(tar.gz 아카이브 파일 설치 방법에서 step2부터) 바로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 aptu
# apti kodi-netflix-plu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