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Sign in

하드 디스크 설치 시 UEFI 부팅을 위한 파티션 분할 방법


UEFI 부트로 No1.Linux를 하드 디스크로 설치하고자 할 때의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입니다. No1.Linux 설치를 실행하기 전에 파티션 도구인 gparted 도구를 실행하여 UEFI 부트를 위한 파티션과 리눅스 설치를 위한 파티션을 생성해 주어야 합니다.

▣ UEFI 부트에 필요한 파티션

            파티션명          

                  용                    도                 

         마운트위치      

     용       량   

  efi 파티션

 UEFI 부트용 파티션

  /boot/efi

  30~100M

  리눅스 파티션

 리눅스가 설치될 파티션, 파일시스템: ext4    

 /

    최소 8기가

  스왑 파티션

 스왑 파티션

 

    1기가 내외


STEP1. [시작메뉴 -> 설정 -> gparted]를 클릭하여 gparted 파티션 도구를 실행합니다.


STEP2. root 수퍼 유저의 암호 root를 입력합니다.


STEP3. 기존 파티션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를 클릭하는 식으로 해서 모든 파티션을 제거하여 파티션을 초기화합니다.

uefi-part1.png   uefi-part2.png


STEP4.  초록색으로 체크 도구아이콘을 클릭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션이 초기화되도록 작업을 진행합니다. 

uefi-part4.png

uefi-part5.png

          작업이 완료되면 [닫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5. [할당되지 않음]으로 된 파티션을 선택하고나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uefi-part3.png


STEP6. UEFI용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UEFI용 파티션은 100~300메가 정도로 할당해 주면 되고, 파일시스템으로는 FAT16으로 선택합니다.

            설정되었으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uefi-part6.png


STEP7. UEFI용 파티션이 추가되었으면 [초록색 체크] 도구 아이콘을 클릭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션이 포맷되도록 합니다.

uefi-part7.png

STEP8. UEFI용 파티션을 포맷한 후 [파티션] 메뉴에서 [플래그 관리] 메뉴를 선택합니다.

uefi-part17.png


STEP9. boot와 esp 플래그를 선택합니다.

uefi-part9.png


STEP10. 이번에는 리눅스 파티션을 생성할 차례입니다. [할당하지 않음] 파티션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팝업메뉴에서 [새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uefi-part10.png

STEP11. 리눅스를 설치할 파티션의 크기는 스왑 파티션에 할당해 줄 용량을 제외한 모든 용량을 할당해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할당되지 않은 남은 용량

             이  25기가라 한다면 1~2기가 정도를 제외한 23~24기가로 할당해 주면 됩니다(리눅스파티션 = 남은 용량 - 스왑파티션용량).

             그리고 파일시스템은  ext4로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uefi-part11.png

STEP12. 마지막으로 할당되지 않은 파티션을 선택하고나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여 스왑 파티션을 생성해 줍니다.

uefi-part12.png

STEP13. 스왑파티션은 앞서 리눅스 파티션을 생성하고 남은 모든 용량으로 할당해 줍니다. 파일시스템엔 linux-swap으로 선택해 주면 됩니다.

uefi-part13.png

STEP14. 리눅스를 설치 가능한 환경으로 파티션이 준비되었습니다.

uefi-part14.png

 STEP15. 마지막으로 [초록색 체크] 도구 아이콘을 클릭하여 나머지 파티션(리눅스 파티션과 스왑 파티션)이 활성화되도록 합니다.

uefi-part15.png

uefi-part16.png

STEP16. gparted 도구를 종료한 후 바탕화면의 [No1.Linux 설치] 아이콘을 클릭하여 No1.Linux를 설치합니다.


STEP17. 설치 과정의 파티션 설정 단계에선 이미 파티션을 생성하였으므로, [기존 파티션 사용]을 선택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면 됩니다.  만일 [사용자 정의 파티션 나누기]를 선택하여 진행할 경우에는 UEFI용 파티션은 /boot/efi으로, 리눅스 파티션은 /으로, 스왑은 스왑으로 마운트 위치를 선택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uefi-part18.png

uefi-part19.png

uefi-part20.png


STEP18. 설치 마지막 과정 중 부트로더 설치 단계에서 부트 장치로 [EFI System Partition]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면 됩니다.

uefi-part21.pn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RPM Repository No1Linuxer 2023.02.21 61
공지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ISO BUILD 18 file No1Linuxer 2023.01.01 1962
41 가이드 [입문] 다운로드한 ISO를 윈도에서 라이브 USB를 만드는 방법  No1Linuxer 2020.06.21 70
40 가이드 라이브를 하드 디스크로 설치한 후 재시작하였을 때 엑스 화면이 이상해요!  zharyong 2019.06.21 232
39 가이드 라이브 하드 디스크 설치 후 자동 로그인되도록 설정하려면  No1Linuxer 2019.06.20 299
38 가이드 콘솔 바탕화면 투명을 해제하려면  No1Linuxer 2019.06.20 392
37 가이드 저장 가능한 라이브 USB를 만들기  No1Linuxer 2019.06.20 605
» 가이드 하드 디스크 설치 시 - UEFI용 파티션 생성하기  zharyong 2019.02.11 2348
35 가이드 하드 디스크 설치 시 - 윈도 단일 파티션인 경우  zharyong 2019.02.11 864
34 가이드 [사용자가이드1] 토렌트로 No1.Linux 다운로드 방법  zharyong 2019.01.04 1863
33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kdeconnect 멀티미디어 제어 지원 재생기  2 No1Linuxer 2023.04.01 39
32 가이드 [활용] No1.Linux로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만들어 사용하기  No1Linuxer 2023.01.08 86
31 가이드 [활용] PC to PC로 kdeconnect 연결하여 파일전송하기  5 No1Linuxer 2023.01.05 180
30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시스템별 부팅 테스트  No1Linuxer 2022.12.31 92
29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기타 프로그램 지원  2 No1Linuxer 2022.12.30 114
28 가이드 [활용] 손쉬운 이미지 변환 kde-service-menu-reimage  No1Linuxer 2022.12.30 115
27 가이드 [활용] 리눅스용 한컴오피스 2022베타 버전 설치  No1Linuxer 2022.12.30 368
26 가이드 [활용] 스마트폰 화면을 미러링하기 - Anmirror (scrcpy GUI 스크립트) 사용법 -  No1Linuxer 2022.12.29 85
25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KODI 애드온 지원  No1Linuxer 2022.12.28 41
24 개발 No1.Linux 2023 KDE PLASMA 스마트폰 연동 지원  2 No1Linuxer 2022.12.28 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