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Sign in
No1Linuxer 주소복사
조회 수 134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o1linux-2022-1.png

No1.Linux 2022.03.03 KDE PLASMA TE


no1linux-2022-bluetooth.png

블루투스 관리자 


no1linux-2022-shutdown.png

시스템 셧다운 compact shutdown


no1linux-2022-wifi.png 

네트워크 관리자

  • profile
    No1Linuxer 2022.03.07 00:09

    * No1.Linux 2020.03.06 KDE PLASMA TE

    • Kernel 5.16.10-no1linux2

    • KDE PLASMA 5.24.2 / KDE Framework 5.91.0 / QT 5.15.2

    • Mircrosoft Surface Laptop 지원, 커널 패치 적용(미테스트)

    • Lenovo Flex5 AMD Ryzen Laptop 최적화(AMD CPU/GPU 완벽지원, 터치스크린 지원, 화면 자동회전 지원및 각종 하드웨어 지원)

    • 기본 한글 입력기 kime 지원

    • 손쉬운 윈도용 카카오톡 설치및 문제점 보완

    • 리눅스용 한컴 오피스 베타 버전 자동 설치 지원

    • 리브레오피스용 한컴 한글문서 지원 확장 모듈 자동 설치 지원

    • 향상된 네트워크 관리자및 블루투스 관리자

    • 스마트폰 연동 기능 향상(kdeconnect, 스마트폰미러링 Anmirror)

    • 대부분의 터치스크린 지원, 화면 자동 회전 지원

    • 코드명 : 지구 Earth
  • profile
    No1Linuxer 2022.03.09 11:07

    ▣ No1.Linux 2022.03.09 KDE PLASMA TE

    • KDE PLASMA Update 5.24.2 -> 5.24.3
    • binutils 2.37 -> 2.38
    • dbus 1.13.22 -> 1.14.0
    • dolphin 21.12.2 -> 21.12.3
    • firefox 97.0.1 -> 98.0
    • lomanager 7.2 -> 7.3.1
  • profile
    No1Linuxer 2022.03.26 15:52 Files첨부 (1)

    * No1.Linux 2022.03.26 KDE PLASMA TE
    teclast-no1.png

    • Teclast x96 Air 3g 태블릿 지원
      - 기존 버전 부팅시 커널 패닉 문제점 해결(acpi 비활성화 시 ntpd 데몬 충돌로 인한 크래쉬 현상 발생 - ntpd 데몬 비활성화)
      - 부팅 방법 : OTG USB 또는 microUSB 허브에 라이브USB 꼽은 후 전원을 켜고 나서 DEL키를 눌러 바이오스로 진입하여 Boot override에서
                        해당
      USB장치를 선택하여 엔터키를 누르면 라이브USB로 부팅이 이뤄짐. 부팅후에 기본 부트 엔트리로 부팅
      - 지원 하드웨어

        • Intel Atom CPU(Z3735F)

        • Intel Graphic Card(GPU)

        • Touchscreen(goodix capacitive touchscreen/2048x1536 IPS)

        • Wireless LAN(rtl8723bs/r8723bs.ko/rtl8723bs_nic.bin)

    - 미지원 하드웨어

    • 블루투스

    • 사운드카드(intel SST Audio device/Realtek i2c Audio Codec)  (2022.04.07 버전부터 지원)

    • GPS( Broadcom BCM4752 DGNSS chip)
    • 회전센서(kionix 3-axis accelerometer/KXCJ9) (kxcjk-1013 모듈로 동작하는 것으로 파악됨. 2022.04.12)
  • profile
    No1Linuxer 2022.04.07 14:00

    ♣ No1.Linux-2022.04.06-KDE-PLASMA-TE

    • Teclast X98 Air 3G 전용 최소 용량(2.1G) 태블릿 버전

    • 지원 하드웨어

      • Intel Atom CPU(Z3735F)

      • Intel Graphic Card(GPU)

      • Touchscreen(goodix capacitive touchscreen/2048x1536 IPS)

      • Wireless LAN(rtl8723bs/r8723bs.ko/rtl8723bs_nic.bin)

      • 아날로그 사운드 카드(sof-bytcht rt5640) - NEW

       [    6.963632] sof-audio-acpi-intel-byt 80860F28:00: Firmware info: version 1:6:0-e9637
      [    6.963645] sof-audio-acpi-intel-byt 80860F28:00: Firmware: ABI 3:17:0 Kernel ABI 3:18:0
      [    6.991517] bytcr_rt5640 bytcr_rt5640: BIOS Routing: AIF1 connected
      [    6.991615]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IN3_MAP enabled
      [    6.991622]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realtek,jack-detect-source 2
      [    6.991626]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realtek,over-current-threshold-microamp 2000
      [    6.991630]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realtek,over-current-scale-factor 2
      [    6.991635]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SSP0_AIF1 enabled
      [    6.991639] bytcr_rt5640 bytcr_rt5640: quirk MCLK_EN enabled
      [    6.993503] sof-audio-acpi-intel-byt 80860F28:00: Topology: ABI 3:17:0 Kernel ABI 3:18:0
      [    6.994114] bytcr_rt5640 bytcr_rt5640: ASoC: Parent card not yet available, widget card binding deferred
      [    7.017831] input: sof-bytcht rt5640 Headset as /devices/platform/80860F28:00/bytcr_rt5640/sound/card0/input4


  • profile
    No1Linuxer 2022.04.12 10:14

    * Teclast x98 Air 3g Screen Auto Rotation Sensor 인식 관련

    • 태클라스트 x98 Air 3G 제품의 회전 센서가 리눅스 커널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No1.Linux-2020.09.20 버전으로 테스트해 바로는 커널에서 정상적으로 지원되고 있음을 확인

    • 태클라스트 X98 Air 3G 제품의 회전 센서 모듈은 kxcjk_1013이며, No1.Linux 2022.04.09 버전에서 채택하고 있는 커널 5.16.10-no1linux2 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데, 이는 kxcjk_1013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면서 호환성이 떨어진 것으로 추측

    • 일단 커널 5.8.x No1.Linux 커널에선 지원되고 있으므로, 현재 사용중인 커널에서도 지원할 수 있으리라 판단

  1. No1.Linux 2022.03.03 KDE PLASMA TE

    Date2022.03.06 ByNo1Linuxer Views1343
    Read More
  2. 고해상도의 No1.Linux 2021

    Date2021.12.30 ByNo1Linuxer Views433
    Read More
  3. 오디오 녹음 No1.Linux Audio Recorder

    Date2021.12.07 ByNo1Linuxer Views329
    Read More
  4. ISO boot를 위한 Grub Boot Menu

    Date2021.12.02 ByNo1Linuxer Views306
    Read More
  5. No1.Linux2022 Workspace

    Date2021.12.01 Byzharyong Views317
    Read More
  6. 듀얼모니터

    Date2021.11.22 Byzharyong Views336
    Read More
  7. 수정된 UEFI 부트 화면

    Date2021.11.12 ByNo1Linuxer Views254
    Read More
  8. 하드웨어 정보 CPU-X 4.2.0

    Date2021.11.10 ByNo1Linuxer Views261
    Read More
  9. 자연이 좋다면 이런 배경도

    Date2021.10.23 ByNo1Linuxer Views226
    Read More
  10. No1.Linux 2021 Function key 기능

    Date2021.10.18 ByNo1Linuxer Views233
    Read More
  11. 스마트폰미러링 Anmirror

    Date2021.10.06 ByNo1Linuxer Views276
    Read More
  12. 인터넷공유 hotspot

    Date2021.09.30 ByNo1Linuxer Views272
    Read More
  13. no1linux-mjpg-streamer

    Date2021.09.28 ByNo1Linuxer Views265
    Read More
  14. No1.Linux 2021 ME Wallpaper

    Date2021.09.12 ByNo1Linuxer Views218
    Read More
  15. 유튜브다운로드

    Date2021.09.03 ByNo1Linuxer Views141
    Read More
  16. No1.Linux 2021 TE BG

    Date2021.09.03 ByNo1Linuxer Views151
    Read More
  17. 태블릿환경의 파이어폭스

    Date2021.08.31 ByNo1Linuxer Views113
    Read More
  18. No1.Linux 2021 KDE PLASMA TE 시작메뉴(런처)

    Date2021.08.30 ByNo1Linuxer Views95
    Read More
  19. No1.Linux-2021.09.01-KDE-PLASMA

    Date2021.08.30 ByNo1Linuxer Views90
    Read More
  20. 배경이미지

    Date2021.08.03 ByNo1Linuxer Views1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