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유해주신 테블릿 베타버전 두테블릿에 라이브 부팅후 설치했습니다.
설치후 재부팅하면 txt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댓글에 설명해주신 root로 했을경우 빨간 글시로 나오는데 사진으로 순서대로 올리겠습니다.
이부분이 명확하지 않아 더이상 진행이 되질 않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래 부팅후 txt화면 타이핑 해봤습니다.
No1.Linux release 2020 (Vivace) for x86_64
Kernel 5.8.5-no1linux1 on a 4-processorx86_64 / tty1
localhost logn:
root 입력하면 빨간 글씨로 [root@localhost -]# 이렇게 뜹니다.
임의의 아이디를 만들어 넣으면 다음줄에
Password:
라고 뜨고 비번 임의로 입력해도 아무런 글씨가 뜨지 않고 다시 localhost logn: 이렇게 뜨네요
댓글 32
-
하늘소
2020.09.05 04:43
root 입력후 rescuex 입력하고나서 부팅화면을 볼 수있었습니다. x98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고 소리는 나지 않습니다. 그래픽 설정에서 테블릿터치설정을 하려고 하니 아무 것도 뜨지않고 설정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dell테블릿은 부팅후 검은 화면만 뜨고 키보드 단축키 스크린 캡처나 노트북외부화면전환 버튼을 누르면 해당 메뉴와 화면들이 나오는데 그외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전원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꺼지는 화면은 나옵니다... -
제가 사용자 계정 정보에서 자세한 말씀드리지 않아서 고생을 드려 죄송하군요. 초기 사용자 계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관리자 아이디 : root 비번 : root
사용자 아이디 : guest 비번: guest
x98 테라클라스 제품은 지난번 올려 주신 제품 사양 이미지로 보았을 땐 리눅스에서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가 있는데, 사운드 카드는 전혀 인식되지 않고 있습니다. 제품 검색을 해서 어떤 사운드카드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은 지난번에도 동작하지 않을 것으로 말씀드리긴 했는데요. xinput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 터치 스크린 정보가 보여야 하는데, x98 제품에선 드라이버 지원이 안되어서 그런지 아무런 정보가 보이질 않습니다. 이 제품은 우선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장치들이 많아서 추가적인 지원 작업이 있어야 할 듯 싶습니다.
DELL 태블릿에서 부팅한 후에 검은 화면이 나오면 Ctrl+Alt+BackSpace 키를 눌러서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x98이나 Dell이나 설치 후 부팅하였을 때 사용자 계정 생성하는 단계가 나올텐데, 이 과정 없이 엑스 윈도우로 부팅이 이뤄졌는지를 궁금하네요. 그리고 엑스 윈도우로 부팅할 때 라이브로 부팅하였을 때보다는 시간이 더 걸리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진행상황바(넘버원 리눅스 로고가 나오는 화면)가 나오는 화면에서 진행상황이 오래 걸리면 엑스 윈도우가 시작한 후에 검은 바탕화면이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dell에선 라이브 부팅한 다음에 자동 화면 회전은 테스트해 보셨는지요?
-
하늘소
2020.09.06 14:11
dell테블릿 위에 말씀해주신대로 콘솔창에서 입력사항 공유드립니다.
터치는 여전히 인식안되네요... 그리고 화면 회전은 정상적으로 잘 됩니다. 세로로 세울때는 검은화면과함께 깜박이며 바뀌고 가로로 뒤집었을 경우에는 깜박임 없이 화면 회전이 됩니다.
부팅중 검은화면 나와서 테블릿 게시판에 말씀하신 방법 Ctrl+Alt+BackSpace 누르니 로그인 화면 나와서 비번 입력후 윈도우 화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라이브 부팅에서는 와이파이 표시가 나오는데 설치후 부팅중에는 와아파이가뜨지 않아 알려주신 명령어 입력후 적용하니 정상 작동했습니다.
와콤펜이 있는데 내장이 아니고 건전지가 들어가는 것을 쓰는데 밧데리가 다되어 이부분은 확인 못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oonce@localhost ~]$ wacoms
FATAL: Error inserting wacom (/lib/modules/5.8.5-no1linux1/kernel/drivers/hid/wacom.ko.xz): Operation not permitted
Usage: xinput set-prop <device> [--type=atom|float|int] [--format=8|16|32] <property> <val> [<val> ...]
Usage: xinput set-prop <device> [--type=atom|float|int] [--format=8|16|32] <property> <val> [<val> ...]
Wacom Touch and Gesture enabled......
Cannot find device 'Wacom HID 5218 Pen stylus'.
Setting Wacom Pen Top Button as Mouse Middle Button....
[hoonce@localhost ~]$ xinput
⎡ Virtual core pointer id=2 [master pointer (3)]
⎜ ↳ Virtual core XTEST pointer id=4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Touchscreen pad id=12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stylus id=13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touch id=14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Mouse id=15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eraser id=20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pad id=21 [slave pointer (2)]
⎜ ↳ Alps Alps Touchpad Mouse id=10 [slave pointer (2)]
⎜ ↳ Alps Alps Touchpad id=11 [slave pointer (2)]
⎣ Virtual core keyboard id=3 [master keyboard (2)]
↳ Virtual core XTEST keyboard id=5 [slave keyboard (3)]
↳ Power Button id=6 [slave keyboard (3)]
↳ Video Bus id=7 [slave keyboard (3)]
↳ Power Button id=8 [slave keyboard (3)]
↳ Sleep Button id=9 [slave keyboard (3)]
↳ Intel Virtual Button driver id=16 [slave keyboard (3)]
↳ Intel HID events id=17 [slave keyboard (3)]
↳ Dell WMI hotkeys id=18 [slave keyboard (3)]
↳ AT Translated Set 2 keyboard id=19 [slave keyboard (3)]
[hoonce@localhost ~]$ draknetcenter
Ignore the following Glib::Object::Introspection & Gtk3 warnings
Subroutine Gtk3::main redefined at /usr/lib/perl5/vendor_perl/5.22.3/Gtk3.pm line 525.
$VAR1 = [
bless( do{\(my $o = 8137360)}, 'Gtk3::TreePath' )
];
Failed to connect to non-global ctrl_ifname: (nil) error: Success
Failed to create host name resolver: Invalid host name
run-parts: /etc/sysconfig/network-scripts/hostname.d/avahi exited with return code 1
Failed to connect to non-global ctrl_ifname: (nil) error: Success
Error for wireless request "Set Encode" (8B2A) :
SET failed on device wlan0 ; Invalid argument.
Successfully initialized wpa_supplicant
ioctl[SIOCSIWENCODEEXT]: Invalid argument
ioctl[SIOCSIWENCODEEXT]: Invalid argument
[hoonce@localhost ~]$ aptu
bash: aptu: command not found
[hoonce@localhost ~]$ -
1. 터치스크린 핑거 터치
xinput 명령의 결과를 보았을 때는 핑거 터치 드라이버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콘솔창에서 루트 권한으로 wacoms 명령을 실행한 후에 핑거 터치를 해 보세요. 콘솔창에서 두 손가락 드래그로 스크롤이 되는지, 두 손가락 오므렸다가 펼쳤다가해서 화면 확대/축소 기능이 이뤄지는지 확인해 보세요. wacoms 명령후 xinput 명령을 실행하면
WCOM4806:00 056A:4806 Touchscreen pad id=12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stylus id=13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touch id=14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Mouse id=15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eraser id=20 [slave pointer (2)]
⎜ ↳ WCOM4806:00 056A:4806 pad id=21 [slave pointer (2)]에서 Wacom HID로 된 형태로 바꿔져 있을 것입니다. 만일 xinput 명령으로 wacom hid는 나오는데, wacom hid 5218이 아닌 다른 값으로 나온다면 보고해 주세요. 올바른 값으로 wacoms 명령이 동작할 수 있도록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2. Screen AutoRotation
화면 자동 회전은 된다고 하니 기쁜 소식이군요. 회전이 회전될 때 검은 화면이 나오는데, 검은 화면 대신 다른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겠습니다. 화면 자동 회전 결과를 위해서 콘솔창에서 lsmod | grep hid 명령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wacoms 명령 실행
wacoms 명령은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하므로, su 명령을 실행한 후에 실행해 주세요.
4. draknetcenter 외에 루트 권한의 명령어 실행 방법
앞서 su 명령에 대해서 말씀드렸다시피 시스템에 관련된 명령어들은 시스템 관리자 권한은 root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일반 사용자에서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썬 su 명령을 사용합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루트 사용자로 전환되어 시스템 관리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draknetcenter도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라이브에서는 루트 사용자의 비번이 없기 때문에 guest 사용자는 이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나, 리눅스 설치후 루트 비번이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su 명령을 실행한 후 생성한 루트 비번을 입력해야 루트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5. 와콤펜 배터리
델의 와콤펜은 AAAA 건전지를 사용하는건가요? AAAA 건전지는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9V 네모란 건전지를 분해하면 얻을 수 있거든요. 레노보는 기본 건전지를 제공하질 않아사 2천원짜리 건전지를 개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리포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피드백을 해 주시는 덕분에 더 좋은 환경으로 개선해 나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x98 태클라스 제품의 사운드 카드 종류가 파악되질 않는군요. 윈도 운영체제에선 사운드 카드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할까요?
현재로썬 구글링을 해도 정확한 사운드 카드에 대한 정보가 나오질 않아서 지원하기는 어려울 듯 싶습니다. -
*** X98 Teclast Tablet 지원 가능성 ***
1. 터치스크린
- 터치스크린은 goodix capacitive touchscreen 으로 파악되었는데, 베타버전의 커널에선 지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아마도 2019버전의 커널에서는 지원되었으리라 생각되는데, 새 커널 5.8.7 버전에선 추가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베타버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커널 5.8.5 버전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추가 작업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2. 사운드카드
사운드카드는 Intel Atom/Celeron/Pentium Processor x5-E8000/J3xxx/N3xxx Series Imaging Unit 장치로 파악되는데, 확실치 않습니다. 이 장치로 쓰이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콘솔창을 열어서 루트 권한으로 실행해 주세요.(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명령어는 su 입니다. 이 명령을 사용자 계정에서 실행한 후에 커널 모듈을 띄우는 명령을 실행해 주면 됩니다)
그런 후에 사운드 카드 동작을 확인해 보세요. 상단 우측 시스템 트레이에 있는 스피커 아이콘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실행하여 pulseaudio control를 클릭하여 [설정] 탭에서 내장 오디오 설정에서 사운드 카드가 잡혔는지를 확인해 보면 됩니다.
그외 동작하지 않은 장치들에 대해서 보고해 주시면 체크하여 지원해 드리겠습니다. 좀 더 향상된 지원을 위해서 콘솔창에서 lsmod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캡쳐한 이미지로 올리지 말고 콘솔창에서 마우스로 블럭을 지정한 후에 Ctrl+Shift+C키를 누르면 복사됩니다. 복사된 것을 댓글에다가 Ctrl+V키로 붙여 넣기를 하여 올리시면 됩니다.
-
하늘소
2020.09.06 11:45
[hoonce@localhost ~]$ lsmod
Module Size Used by
bnep 20480 2
hid_multitouch 24576 0
r8723bs 507904 0
cfg80211 634880 1 r8723bs
mei_hdcp 20480 0
mei_txe 24576 1
mei 69632 3 mei_hdcp,mei_txe
lpc_ich 24576 0
snd_hdmi_lpe_audio 24576 2
intel_atomisp2_pm 16384 0
binfmt_misc 16384 1
nls_iso8859_1 16384 1
nls_cp437 20480 1
vfat 20480 1
fat 65536 1 vfat
joydev 20480 0
input_leds 16384 0
dm_mod 114688 0
wmi 20480 0
snd_hda_intel 40960 0
snd_hda_codec 106496 1 snd_hda_intel
snd_hda_core 69632 2 snd_hda_intel,snd_hda_codec
snd_seq_dummy 16384 0
snd_hwdep 16384 1 snd_hda_codec
snd_intel_dspcfg 16384 1 snd_hda_intel
snd_seq_oss 36864 0
snd_seq_midi_event 16384 1 snd_seq_oss
snd_seq 53248 5 snd_seq_dummy,snd_seq_oss,snd_seq_midi_event
snd_seq_device 16384 2 snd_seq_oss,snd_seq
snd_pcm_oss 45056 0
snd_pcm 90112 5 snd_hdmi_lpe_audio,snd_hda_intel,snd_hda_codec,snd_hda_core,snd_pcm_oss
snd_timer 28672 2 snd_seq,snd_pcm
snd_mixer_oss 24576 1 snd_pcm_oss
snd 69632 15 snd_hdmi_lpe_audio,snd_hda_intel,snd_hda_codec,snd_hwdep,snd_seq_oss,snd_seq,snd_seq_device,snd_pcm_oss,snd_pcm,snd_timer,snd_mixer_oss
soundcore 16384 1 snd
hid_sensor_hub 20480 0
hid_uclogic 20480 0
loop 32768 0
vgem 16384 0
cdc_acm 28672 0
firewire_ohci 36864 0
firewire_sbp2 24576 0
firewire_core 53248 2 firewire_ohci,firewire_sbp2
crc_itu_t 16384 1 firewire_core
fuse 102400 1
hci_uart 73728 0
serdev 16384 1 hci_uart
btintel 20480 1 hci_uart
btrtl 16384 1 hci_uart
btqca 16384 1 hci_uart
bluetooth 389120 11 bnep,hci_uart,btintel,btrtl,btqca
gpio_keys 20480 0
soc_button_array 16384 0
intel_int0002_vgpio 16384 1
i2c_hid 24576 0
ecdh_generic 16384 1 bluetooth
ecc 28672 1 ecdh_generic
dw_dmac 16384 0
acpi_pad 20480 0
evdev 20480 23
xhci_plat_hcd 16384 0
xhci_pci 20480 0
dwc3 65536 0
xhci_hcd 188416 2 xhci_plat_hcd,xhci_pci
dwc3_pci 16384 0
uhci_hcd 32768 0
ohci_hcd 36864 0
ehci_hcd 53248 0
usbhid 40960 1 hid_uclogic
usbcore 200704 9 hid_uclogic,cdc_acm,xhci_plat_hcd,xhci_pci,xhci_hcd,uhci_hcd,ohci_hcd,ehci_hcd,usbhid
i915 1769472 59
drm_kms_helper 159744 1 i915
drm 417792 10 vgem,i915,drm_kms_helper
fb_sys_fops 16384 1 drm_kms_helper
sysimgblt 16384 1 drm_kms_helper
sysfillrect 16384 1 drm_kms_helper
syscopyarea 16384 1 drm_kms_helper
cec 45056 1 i915
rc_core 32768 1 cec
i2c_algo_bit 16384 1 i915
video 40960 1 i915 -
하늘소
2020.09.06 11:59
x98 사운드카드 명령어 입력하니 hdm 출력으로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윈도우용 하드웨어 설치파일이 있는데 공유드리는게 빠를까요?
말씀해주신 명령어 복사해 올려드렸습니다.
이렇게 신경써주신 덕분에 잠자고 있던 테블릿 활용도가 높아질 것 같습니다. ^^
혹시몰라 드라이버 포함된 윈도우 설치다운링크 보내드립니다. 압축비번 걸려있네요 tao2korea 입니다.
https://mega.nz/folder/vlVSiArR#jhIcdOSdGxjN5Tw1fQr72Q/folder/fpdjwQ7J
-
윈도우 드라이버는 전혀 도움이 안되고요,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서 아무런 도움이 안되고요, 단지 윈도우 제어판의 장치 관리자에서 설정된 내역으로 그에 맞는 리눅스 드라이버를 찾아 커널에서 지원되도록 할 정도입니다.
lsmod 명령으로 보니깐 사운드는 snd_hda_intel 드라이버로 동작하고 있고요, 출력 장치만 제대로 설정해 주면 어려움 없이 사운드를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와이파이 모듈이 보이질 않는데, 와이파이는 사용이 가능한지요? 아마도 안될 것으로 보이는데, 와이파이 장치도 새로운 커널에서는 지원할 예정입니다.
x98는 가속도계및 자이로센서 인식이 되질 않아서 화면 자동 회전은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으로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직접 테스트해 보질 않는데, 지원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
No1.Linux 2020.09.07 KDE PLASMA TE 베타버전 2
- x98 Teclast 터치스크린 지원
- x98 Teclast Wifi 모듈 지원
x98 태블릿 지원성을 향상시킨 베타 버전 2입니다.
베타 버전 설치 후 부팅하였을 때 KDE PLASMA 데스크탑 환경의 바탕화면이 검은 바탕이 나올 경우에는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바탕화면설정]에서 배경 이미지를 변경해 주면 됩니다. 이 이슈사항도 수정될 예정입니다.
-
하늘소
2020.09.08 09:57
와~ 감사합니다. x98 리눅스 관련하여 찾아보다가 우분투리눅스 적용한 외국사례가 있어
찾아서 설치해보니 아톰버전 i ubuntu20.04.1 사운드 와이파이 정도는 자동으로 인식했었습니다.
사용하기에 불편해 다른버전 i ubuntu 18.04 설치해봤는데 이건 해상도 설정하다가 화면 가출해서 더 확인을 못해봤네요
잠깐 다른 리눅스 사용해보니 관리자님 NO1리눅스가 더 친근감 있어 편한 것 같습니다.^^
사용해봤던 리눅스 사이트입니다.
https://linuxiumcomau.blogspot.com/https://linuxiumcomau.blogspot.com/2016/10/running-ubuntu-on-intel-bay-trail-and.html
오늘 시간이 나니 올려주신 파일 적용해보겠습니다.
삽질도 중독인데...ㅜㅜ 빠르게 피드백 수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게 평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넘버원 리눅스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환경으로 맞춤 개발되고 있는 데스크탑 운영체제입니다. 우분투나 페도라 배포판과 같은 메이저를 따라갈 순 없지만, 이들 배포판들이 안고 있는 불편함을 최대한 줄여 좀 더 향상된 배포판을 만들어 가는 것이 목적입니다. 하늘소님의 피드백은 이러한 편리한 환경을 구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개발자가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해 보고 않고서는 지원하기가 매우 힘듭니다만, 이렇게 피드백을 해 주므로써 간접적으로나 지원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고 미생의 배포판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해 주시는 하늘소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넘버원 리눅스는 우분투 계열이 아니라서 환경이 매우 다르긴 하나, 우분투, 페도라, 아치 등 여러 배포판의 좋은 점들을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실력의 한계가 제약이긴 하지만, 사용자의 니즈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선 이들 배포판들을 벤치마킹하여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x98 해상도는 저가 태블릿치고는 상당히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 넘버원 리눅스에선 이 제품의 최대 해상도를 지원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지원되지 않는다면 최대 해상도를 그리고 가능한 수평, 수직 주파수까지 알고 있다면 이들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반영해 드리겠습니다. 터치스크린은 goodix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 때문에 베타2 버전에선 터치가 가능하지만, 터치 제스쳐 기능은 다소 문제가 있을 겁니다. 왜냐하면 베타2에선 touchegg라는 터치 제스처 도구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콘솔창을 열어서 루트 권한이 아닌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touchegg 명령을 실행한 후에 다른 응용프로그램(파이어폭스)에서 터치 제스처 기능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댓글이 너무 길어졌군요. x98및 델 태블릿에서의 베타 2 버전의 결과를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하늘소
2020.09.08 16:55
우연한 기회에 넘버원 리눅스를 알게되어 서레임반 기대반 삽질준비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관리자님 이렇게 해주시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테블릿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 같아 저또한 감사드립니다. x98 테블릿이 아이패드를 닮아 레티나 디스플레이에 3G 유심까지 들어가 전화 인터넷까지 되고 듀얼부팅으로 윈도우와 안드로이드까지 당시에 정말 가성비 테블릿으로 롬과 윈도우 갈아엎느라 한참 삽칠했었다가 윈도우는 정상이였지만 안드로이드에서 터치가 먹통되는 바람에 그 열기기 죽어 윈도우만 활용하다가 서랍에 들어가게 된지 좀 되었었습니다.
언급해주신 최대해상도를 모니터에 나오는 해상도 비율로 보면 될까요 수평, 수직 주파수는 어떻게 알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우선 공유해주신 버전 설치는 마첬는데 부팅하는 과정중에 오류화면이 나와서 부팅을 완료하지 못했습니다.
사진 첨부하여 보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첨부 오류 사진은 잘못 올려 주신 것 같은데요, 첨부 사진에 있는 오류는 이번 베타2버전이 아니라, 2019버전의 오류라 보입니다. 상기 오류는 지난번에도 말씀을 드린 것 같긴 한데, initrd 이미지가 생성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커널 버전이 2019버전의 5.1.5 버전이네요. 아마도 오류가 같다고 판단해서 지난번 이미지로 올려 주신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암튼 오류가 2019버전이든 베타 버전이든간에 비슷하다고 하다면 부팅시 리커버리 모드가 있을 것인데, 이 모드로 부팅해 보세요. 리커버리 모드로 부팅되었다면 바로 루트 쉘로 나가게 되는데, 여기서 다음과 같이 실행해 주세요.
mkinitrd /boot/initrd-5.8.7-no1linux.img 5.8.7
그런 다음에 재 부팅하시면 됩니다.
혹시나해서 추가적으로 답변을 드리는데요, 부트 메뉴 화면이 나왔을 때 첫번째 부트 엔트리를 선택해서 e키를 누르면 부트 설정 내역이 나옵니다. 거기에 linux 항목과 initrd 항목 두 가지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시고, 작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linux /boot/vmlinuz-5.8.7-no1linux1 root=UUID=36e98f51-f0c4-4513-8a38-d2528c8a8d16 ro fbcon=rotate:0
initrd /boot/initrd-5.8.7-no1linux1.imginitrd 항목이 없다면 앞서 드린대로 mkinitrd 명령으로 initrd.img 이미지를 생성해 주더라도 부팅하게 되면 동일한 오류가 발생됩니다. 그러므로 부팅전에 이 설정 라인을 추가해서 부팅하셔야 하는데, 설명이 길어지면 이해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다음에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은 고의적으로 /boot/initrd-5.8.6-no1linux1.img 파일을 삭제한 후 부팅하였을 때의 커널 오류 입니다. 참고하세요.
-
하늘소
2020.09.08 18:25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시기전에 버전확인해보니 제가 지난버전을 설치한걸 확인하고 ^^;; 다시 그새 재설치를 했습니다. 제가 성격이 급해서요ㅎㅎ
설치를 하고 부팅을 하는데 검은화면이 한참동안 나와서 리커버리 모드로 부팅하니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왔습니다.
아니면 검은화면에서 한참을 더 기다려봐야 하는지... Ctrl+Alt+ BackSpace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었습니다.
-
하늘소
2020.09.08 18:37
몇번 재부팅하고 바로 위에 설명해주신 부팅메뉴에서 e 키눌러 확인후 재부팅하니 로그txt화면이 나와 로그인하고 부팅중입니다. -
설치후에는 한번은 rescuex 명령을 실행해 주어야 하는데, 설치 후에는 자동으로 엑스로 구동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좀 더 고민하여 지원해 보겠습니다.
-
상기 이미지 화면은 루트 쉘이라는 것인데 부팅과정이 여러 모드가 있는데, 싱글 모드로 부팅된 상태입니다. 이런 환경은 시스템 관리자인 root가 할 수 있는 시스템 복구를 위한 환경이라 보면 됩니다. 시스템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이 모드에서 각종 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는데요, 부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라든지, 엑스 윈도우가 구동되는지 않는 문제이라든지, 커널 오류이라든지, 스크립트 오류라든지, 루트 패스워드 분실 등 각종 오류들이 여기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우선 저 화면 상태로 나왔다면 여기서 할 수 있는 것은 init 5 명령을 실행해 보는 것입니다. 이 명령은 엑스 환경으로 엑스 윈도우로 전환하라는 것인데, 이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 엑스가 구동되지 않을 때는 rescuex 명령을 실행해 주면 엑스가 구동됩니다. 만일 이 과정에서 오류가 있다면 어떤 오류에 의해서 발생된 것인지를 분석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그래픽 드라이버가 맞질 않아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번째로, 루트 패스워드를 까먹을때 변경하고자 할 때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은 부트 메뉴에서 수정 모드로 들어가서 linux 설정 라인 마지막에 1 또는 single를 넣어 주고 부팅하면 되는 것입니다. 패스워드 변경은 passwd 명령을 실행해 주면 됩니다. passwd 명령만 실행하는 경우에는 루트 비번을 변경하는 경우이지만, 사용자 비번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passwd <사용자계정명> 입니다.
그외 부트로더 메뉴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때도 이 모드를 이용할 수 있는데, 편집기를 이용하여 /boot/grub2/grub.cfg 파일을 열어서 설정을 변경한 후 저장하고나서 부팅하게 되며, 변경된 부트 설정으로 부팅이 이뤄지게 됩니다. 참고로, 이 파일은 수정해서는 안된다고 설정 파일안에서도, 각종 하우투 문서에서도 그렇게 나올 껍니다. 절대로 수정할 수 없는 건 아니고요, 수정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것은 잘못 수정하게 되면 시스템 자체가 부팅되지 않는 크나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심한 경고를 주는 것인데, 내가 지금 어떤 작업을 했고, 그로 인해서 어떤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에 대해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수정해도 괜찮습니다. 저는 직접 수정하거든요. 암튼...
마지막으로 initrd.img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움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이 파일이 생성되지 않아서 리커버리 모드로도 부팅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전혀 부팅할 수 없기 때문에 리눅스를 다시 깔라고 하는 얘기를 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리눅스를 재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었을 때는 멘붕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방법이 있습니다. 리눅스를 다시 깔 필요없이 라이브로 부팅한 후에 시스템을 복구해 주면 되기 때문이죠.
라이브로 부팅하여 initrd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은 굳이 알 필요까지는 없어도 향후에 시스템 관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STEP1. 넘버원 리눅스 라이브로 부팅합니다.
STEP2. 콘솔창을 열어서 su 명령으로 루트 사용자로 전환합니다.
STEP3. chroot 명령으로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을 루트 파티션으로 만듭니다. 이 때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df 명령을 실행하여 대략적으로 어느 파티션에 설치했는지 찾아보면 됩니다. 만일 nvme0n1p5 파티션에 설치하였다면 chroot /media/dev/nvme0n1p5 명령을 실행해 주면 됩니다. chroot 명령을 실행하면 루트 프롬프트 상태로 나오는데, 이는 /media/dev/nvme0n1p5 파티션이 루트 파티션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합니다.
STEP4. mkinit /boot/initrd-5.8.7-no1linux1.img 5.8.7-no1linux1 명령으로 initrd.img 이미지 파일을 생성해 줄 수 있습니다.
STEP5.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됩니다.
댓글에서 여러가지를 복잡하게 설명드렸는데, 지금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겠지만, 향후에 많은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해서 미리 답변을 드렸습니다.
-
하늘소
2020.09.09 00:30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리눅스를 조금씩 알아가는 것 같습니다. ^^설치후 부팅메뉴에서 1번으로 바로 부팅을 하면 여전히 검은 화면에 먹통이 되는듯 합니다. 아무리 기다려도 더이상 진행이 안돼네요..그래서 부팅을 하려면 부팅메뉴에서 e 눌러 ctrl+x 누르면 재부팅이 이루어지면서 부팅을 하게되는데 키보드가 따로 없는 테블릿이라 이점은 많이 불편하네요... 위에 언급해주신 방법도 몇번 해보니 이해가 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테마도 만저보고 화면 회전 수동으로 해주고 터치실행하는 아이콘도 눌러줬는데 터치는 여전이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어떤 부분을 잘 못 건드린 것인지 위의 방법대로 재부팅을 하고나면 코뿔소 모양의 부팅 화면이 나오고 메인화면에 진입하면서 패스워드 입력하려고 하는데 몇초후 전원이 나가버리네요...오늘은 여기서 마무리 해야 할 것같습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
>>> 설치후 부팅메뉴에서 1번으로 바로 부팅을 하면 여전히 검은 화면에 먹통이 되는듯 합니다. 아무리 기다려도 더이상 진행이 안돼네요..
부트로더 부팅 메뉴에서 수정모드로 들어간 후 linux 설정 라인에서 splash와 quiet 두 옵션을 제거한 후 부팅해 보면 부팅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시스템이 멈춘 건지, 아니면 어떤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동작 과정에서 지연 현상이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커널이 패닉(프리징) 상태가 아니고 어떤 서비스에서 정체되어 있다면 그것을 알려주시면 그에 대한 트러블슈팅을 해 드리겠습니다.
부트메뉴에서 e키를 눌러 편집모드로 들어간 후에 ctrl+x키를 누르면 부팅이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는게 좀 이해가 되질 않는군요. 일단 부팅이 완료되면 /boot/grub2/grub.cfg 파일 내용을 알려 주시면 부트로더 설정 파일에 문제가 있는건지, 아님 다른 곳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살펴봐 드리겠습니다.
>>> 테마도 만저보고 화면 회전 수동으로 해주고 터치실행하는 아이콘도 눌러줬는데 터치는 여전이 잘 모르겠습니다.
x98 테클라스트는 회전 센서가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 회전은 현재로썬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에 대해 향후에 추가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lsmod | grep hid 명령의 결과를 알려 주세요. 이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 hid_sensor_hub 모듈이 동작하고 있어야 회전 센서 지원 가능성이 있습니다. 커널에서 회전 센서를 지원하는 경우에 이 모듈에 의해서 가속계 센서및 자이로센서가 함께 동작하게 됩니다.
수동으로 화면 회전하는 것은 바탕화면의 태블릿 폴더에 있는 데스크탑 파일들을 클릭하여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만일 회전이 수동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베타2버전에서 xinput 명령의 결과가 필요합니다. xinput 명령으로 goodix 터치스크린을 확인한 후에 이 장치의 id값을 확인하여 'xinput --list-props 장치id값'의 실행 결과를 알려 주세요. 그리고, 키보드 사용이 가능하다면 Ctrl+Alt+방향키를 눌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키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시작메뉴 ->기타프로그램 ->온보드]를 실행하여 온보드에서 Ctrl, Alt, 방향키를 누르므로써 화면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 재부팅을 하고나면 코뿔소 모양의 부팅 화면이 나오고 메인화면에 진입하면서 패스워드 입력하려고 하는데 몇초후 전원이 나가버리네요...
코뿔소 모양의 스플래시 화면이 나온다면 이것은 넘버원 리눅스의 화면이 아니라, 넘버원 리눅스의 베이스인 PCLinuxOS의 화면으로, 이 화면은 주로 루트로 로그인하였을 때 나오긴 할 껀데, 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마도 테마를 변경하면서 PCLinuxOS에 적용된 것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제가 피드백을 요청하여 많은 고생을 드리는 것 같아, 죄송스럽군요. 동일한 하드웨어를 제가 사용할 수 있다면 이렇게 고생을 하지 않으셔도 되는데, 완벽한 버전이 아니다보니 어쩔 수 없이 불편함을 드릴 수 밖에 없군요.
암튼 x98를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서로 파이팅하였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하늘소
2020.09.10 23:31
안녕하세요 완벽하게 지원해주신다니 감사합니다.^^
위에 피드백 부탁드린대로 적용하기전 다시 한번 새로 갈아엎었지만 부팅 방법은 똑같네요.,
요청해주신대로 명령어 결과와 girb.cfg 파일 첨부드립니다.
그리고
xinput 명령으로 goodix 터치스크린을 확인한 후에 이 장치의 id값을 확인하여 'xinput --list-props 장치id값'의 실행 결과를 알려 주세요.
이부분에서 goodix는 xinput명령으로 나오는 결과에서 찾을 수 없었습니다. txt로 첨부니다.
감사합니다.좋은밤 되세요 ^^
-
grub.cfg 파일에는 이상이 없어 보이는데, 부팅시 부트메뉴에서 e키를 눌러야 제대로 부팅되는 것이 여전히 이해되질 않는군요.
xinput 명령을 살펴 보았는데, 터치스크린 장치가 인식되지 않는 상태입니다.루트 권한으로 modprobe goodix 명령을 실행한 후 로그아웃하였다가 다시 로그인한 후 xinput 명령을 실행해 보세요.
이 명령을 실행하여 Goodix Capacitive TouchScreen 장치가 보이는지를 확인해 보세요. 만일 이 장치가 보이질 않는다면 루트 권한으로 다음 명령을 실행해 주세요.
hw-probe -all -upload
이 명령의 결과는 https://linux-hardware.org 사이트에 이틀 후에 반영되는데, 이 사이트에 등록된 하드웨어 정보를 다시 분석해서 그에 맞게 동작하게끔 지원해 보겠습니다. x98 Teclast는 다른 분이 올린 하드웨어 정보를 보니 상당히 제약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터치스크린부터 지원될 수 있도록 연구해 보겠습니다.
-
하늘소
2020.09.12 16:49
안녕하세요 기기를 아직 만지지 못해서 자료만 찾아보았습니다.게시글 사용자가 외국인인데 우분투를 설치하면서 작업내용을 공유한 내용이에요https://forum.xda-developers.com/x98-air/guide-install-ubuntu-teclast-tablets-t3352310첨부 텍스트 내용 혹시나 도움이 될까해서 해당 게시글에서 다운받아 아래에 내용첨부합니다.- Teclast_x98_air_3g_lshw.txt [File Size:5.5KB/Download:50]
- Teclast_x98_air_3g_lsmod.txt [File Size:4.9KB/Download:50]
- Teclast_x98_air_3g_lspci.txt [File Size:647Bytes/Download:50]
- Teclast_x98_air_3g_lsusb.txt [File Size:538Bytes/Download:51]
- Teclast_x98_air_3g_xinput_list.txt [File Size:1.1KB/Download:58]
- Teclast_x98_air_3g_aplay.txt [File Size:283Bytes/Download:50]
- Teclast_x98_air_3g_dmesg.txt [File Size:50.2KB/Download:51]
- Teclast_x98_air_3g_uname-a.txt [File Size:193Bytes/Download:52]
-
네, 안녕하세요.
링크해 주신 게시물을 확인해 보았는데요, 터치스크린 장치 동작은 확인되었으나, 터치 제스처에 관련된 내용은 없어 보이고요, x98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이 호락호락하지 않은 것 같네요.
그리고 화면 자동 회전은 우분투도 안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된 우분투 버전의 커널이 낮기 때문에 커널에서 회전 센서 인식이 더 안되는 것 같습니다. linux-hardware 사이트에서 x98 제품의 하드웨어적으로 참조하더라도 회전 센서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부팅시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맞쳐 놓고 사용해야 할 듯 싶습니다. 제가 하늘소님의 제품에 대해서 linux-hardware.org 사이트에 보고에 달라고 하는 것은 사용중인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 정보를 정보적으로 수집해서 올려 주는 것이라 해당 운영체제에서 지원되지만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올라가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장치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특히 goodix 터치스크린 장치가 동작하질 않기 때문에 이것저것 요청하기 보다는 한번에 확인할 수 있게 끔 hw-probe -all -upload 명령 실행을 요청해 드린 것이고요.
베타 2버전에서는 이 장치가 동작하게 끔 커널을 손 본 것이라, 동작하지 않으면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hw-probe 명령의 결과가 필요한 것입니다.
일단 기기에서 테스트해 보시고, 그 결과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이 동작하게 끔 풀어나가도록 하지요.
주말 잘 보내세요!
-
하늘소
2020.09.12 20:43
에고... 하나하나 차근차근 해봐야겠네요ㅜㅜ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설명해주신데로 로그아웃 재부팅후 hw-probe -all -upload 명령을 입력하면 첨부한 사진처럼 암호가 올바르지 않다고 나오네요
그리고 해당 이미지로 새로 설치를하고 부팅을 했는데 이번에는 정상 부팅을 합니다. 이상하네요... 제가 이미지를 다른 것으로 한건지....
와이파이는 잡으려고 하는데 인식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
하늘소
2020.09.12 20:59
비밀번호 생각해보니 위에 언급해주셨던 명령어가 생각나서 적용해서 해보니 해당 결과가 나왔습니다.
-
와이파이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데이타가 전송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먼저 와이파이 셋팅을 하신 후에 다시 hw-probe 명령을 실행해야 합니다. -
와이파이 연결은 콘솔창에서 /etc/init.d/networkmanager restart 명령을 실행한 후 시스템 트레이에 있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무선랜 ESSID가 나오는지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무선랜의 ESSID가 나오질 않으면 와이파이 설정이 어려우므로, 이 명령으로 ESSID가 잡히질 않는다면 draknetcenter를 실행하셔서 무선랜을 연결하셔도 됩니다.
시스템 트레이의 네트워크 연결 위젯은 상황에 따라서 SSID가 잡혔다가 안잡혔다가 하는 것 같은데, 테스트한 결과로는 /etc/init.d/networkmanager를 재시작하면 나오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것은 넘버원 리눅스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되질 않는다면 기존 방식대로 draknetcenter 위젯으로 바꾸려고 생각중입니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선 draknetcenter보다는 네트워크 연결 위젯이 더 편리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무선랜 ESSID만 잘 잡힌다면 말이죠.
-
화면 캡쳐하실 때는 핸드폰으로 하지 마시고, ksnip이나 spectacle 캡쳐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ksnip는 하단 라떼독에서 오른쪽에서 7번째쯤에 위치하고 있고, 런처 프로그램에선 [시작 메뉴 -> 그래픽]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펙터클 역시 [시작메뉴-> 그래픽]에서 선택할 수 있고 [프린터인쇄]단축키를 사용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시작메뉴-> 그래픽 메뉴]에선 이들 프로그램에도 다른 캡쳐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것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
-
하늘소
2020.09.13 00:12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설명해주신데로 명령어 입력하니 이제는 와이파이가 뜨는데 비번 입력하면 접속할 수 없다고 메세지 창이 뜨면서 연결이 안되네요... -
draknetcenter를 이용해 보세요.
-
하늘소님, 회전 센서가 x98 plus II 제품과 동일한 지 모르겠습니다만, x98 plus II 제품의 회전 센서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알려 주세요.
modprobe kxcjk-1013
modprobe hid-sensor-hub
lsmod | grep hid
세번째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 hid-sensor로 된 모듈들이 보인다면 회전 센서를 통해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다른 모델을 확인해 보니 테클라스트 제품의 회전 센서들은 다른 회전센서 모듈과는 다르게 동작하는 것 같군요. 일반적으로 hid-sensor-hub 모듈이 동작하면 회전센서 모듈이 자동 적재해서 동작하는데, 테클라스트는 가속계나 자이로 센서 모듈 없이 동작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 확인 좀 해 주실 필요가 있을 듯 싶습니다.) x98 pro 에 대해선 여전히 회전 센서 정보를 찾을 수 없군요.
teclast x16 pro 모델의 경우는 회전센서로 bmc150 모듈을 사용하는데, 상기 명령으로 해서 회전센서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해 보세요.
modprobe bmc150_accel_core
modprobe bmc150_accel_i2c
그리고 와이파이가 연결된 상태라 한다면 루트 사용자로 다음 명령을 실행해 주세요.
aptu
apti x98plus2-fw
이 명령을 실행한 후 시스템을 재시작해 주세요. 상기 명령은 x98 plusII 제품의 펌웨어를 설치하는 건데 x98 pro에 적용될지는 부팅해보면 알 수 있을 겁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MS Surface 태블릿을 위한 No1.Linux 2021.09.28 버전 [태블릿PC 사용자용] | No1Linuxer | 2021.09.28 | 1290 |
5 |
No1.Linux-2021.11.15-KDE-PLASMA-TE.x86_64 설치간 에러
[28] ![]() | cemion | 2021.12.12 | 13220 |
4 | surface pro 6 로그인 안됨 [10] | nomp | 2021.06.08 | 5379 |
» |
dell 5175와 x98 air 3g 두테블릿 베타버전 설치후 로그인 문제
[32] ![]() | 하늘소 | 2020.09.05 | 3093 |
2 |
Lenovo IDEAPAD Flex5 14-ARE05 4300U 리눅스
[6] ![]() | No1Linuxer | 2020.07.07 | 1508 |
1 | Lenovo IDEAPAD Flex5 14-ARE05 노트북 화면 회전 [4] | No1Linuxer | 2020.07.07 | 1289 |